-->
인기 글
-
nodeJS
(express+ nodeJS) CR"UD"작업의 필수 패키지 -> method-override
CRUD(생성 읽기 업데이트 삭제) CRUD의 대부분은 VIEW에서 이나 을 통해 요청을 보내고 라우터가 요청을 읽어서 로직(콜백함수)를 통해 응답해준다. 하지만 , 의 메소드(제출방식) 속성에는 "POST","GET" 두가지 밖에 없기때문에 생성,읽기 작업밖에 할 수 없다. 업데이트와 삭제 작업을 하려면 요청 메소드 GET이나 POST을 PUT 또는 DELETE으로 매핑시켜주는 도구가 필요하다. npm i method-override -S 를 먼저 해주자 const methodOverride = require("method-override"); app.use(methodOverride("", { methods: ["POST", "GET"] }) methods는 요청에 사용될 메소드를 미리 저장해 놓는 ..
-
웹 프로그래밍의 기초
정보처리 산업기사 실기 합격.
다들 취득할 필요 없다고 말했고, 나도 잘 알고있다. 그럼에도 2개월이나 투자해서 따는이유는 간단했다. 기초를 쌓고 싶었다. 시나공 실기책이 하라는대로 공부했다. 중요도 A,B랭크만 한달동안, 하루 3시간(순집중)씩 학습했다. 모든 알고리즘 예제는 순서도를 그리면서 이해했다. 데이터 베이스는 수식들을 최대한 활용해보고, 중요한 개념은 암기했다. 나머지 과목들은 용어 위주로 적혀있어서 quizlet에 넣고 일주일동안 반복해서 학습했다. 한 3과목 합쳐서 150단어 정도? 기출은 책에 부록된 2년치만 풀면서 학습했다. 시험 난이도는 모르겠고, 채점이 꽤 관대한편인거 같다. 들인 시간만 보면 정말 무식하기 그지없다. 그래도 목표했던 기초쌓기는 성공했다. 학습내용이 완벽히 기억나지 않지만 내 전공과목 지식의 틀..
-
알고리즘
정렬의 stability
안정정렬과 불안정정렬을 예시를 들어 정리해봤다. 정렬 전 데이터베이스 이름 학년 1 가케니 3 2 다스탠 3 3 라카트먼 3 4 나버터스 2 5 마카일 1 이름을 오름차순으로 처음 정렬할때 어떤 정렬기법을 사용하든 결과는 똑같다. 첫번째 이름 기준 정렬 결과 이름 학년 1 가케니 3 2 나버터스 2 3 다스탠 3 4 라카트먼 3 5 마카일 1 하지만 여기서 학년 기준 오름차순으로 한번 더 정렬한다면 사용한 정렬기법에 따라 결과가 바뀐다. case 1. 불안정 정렬 ex )선택정렬, 퀵정렬 (아래는 첫번째 정렬결과에 추가로 학년기준 선택정렬을 한 것이다. 3학년들의 정렬 상태를 확인해보자 ) 이름 학년 1 마카일 1 2 나버터스 2 3 다스탠 3 4 라카트먼 3 5 가케니 3 학년은 잘 정렬이 됐으나 이름..
-
카테고리 없음
24일차 - 오징어가 싫어요
한달만에 주식 계좌에 빨간색이 들어왔다. 요즘 coursera의 algorithm, part1을 듣고있는데 강의 자막 빼고는 전부 영어라 진도나가는데 어려움을 겪고있다. 구글 번역이 있지만 번역이 제대로 안돼서 맥락 파악하는데만 쓰고있다. 그래도 깔끔한 강의 + 부지런한 조교님 + 과제 선정과 난이도가 너무 맘에 들기때문에 이 강의는 끝까지 들을수 있을거 같다. 속이 안좋아서 그만쓰고 운동이나 가야겠다. 요즘 늦은시간에 집안으로 비린내가 자꾸 들어오는데 살맛이 안난다 불편한점 : 오징어가 싫어요 오징어가 싫어요 오징어가 싫어요 오늘 한 일 : 알고리즘 강의 1주차 2강 과제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