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함수는 관계의 특수한 형태이다. (관계의 화살표 도표 형태)
함수는 관계에서 첫번째 원소가 같지 않은 순서쌍의 모임이다.
ex) R = {(1,a),(2,b),(3,c)}를 함수로 표현하면
함수의 정의
집합 X에 있는 모든 원소 x가 집합 Y에 있는 원소 중 오직 하나씩만 대응되는 관계를 말한다.
(집합 X의 모든 사람들은 무조건 화살 한발을 쏴야한다.)
이때 집합 X는 정의역(domain)이 되고 집합 Y는 공변역(codomain)이 된다.
화살을 맞은 Y의 원소는 치역(range)이라고 한다.
정의역 = Dom(f) = {x|(x,y)∈f, x ∈X, y∈Y} -> (x,y) 순서쌍의 x
치역 = Ran(f) = {y|(x,y)∈f, x ∈X, y∈Y} -> (x,y) 순서쌍의 y
함수는 자판기랑 비슷한거같다.
500원을 누르면 레쓰비 1000원을 누르면 포카리스웨트!
함수 그래프
G(그래프) = {(x,y)x ∈ A,y ∈ B, y=f(x)}
순서쌍 ( 정의역,치역)을 좌표평면위에 점으로 표시 하는 것